----네이버 ----구글 <--빙웹마스터 도구--> 펑키한 음악이야기 :: 펑키한 음악이야기
반응형

무대나 오디션에서 실수 대처방법

 

무대에서는 많은 긴장감이 따른다. 긴장감때문에 많은 실수를 하는데 실수를 하기 이전에 예방하는것이 중요한데 그런 예방 방법뿐아니라 실수를 한뒤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도 굉장히 중요하다. 상황에 따른 대처 방법을 알아보도록하자.

가사를 까먹었을 때

제일 많이 하는 실수인데 대부분 오디션이나 공연할때 가사를 외워서하는데 긴장한 탓에 가사실수가 가장 많다. 필자의 경우도 가장 큰 단점이라면 기억력이 나빠서 가사를 종종 까먹곤 하는데 이 때마다 가사를 지어서 부르거나 생각나는데로 1절인데 2절가사를 부르기도하고 2절인데 1절가사를 부르기도한다. 중요한것은 얼마나 뻔뻔한가이다. 뻔뻔하게 원래 내가 말하는 가사가 맞는것 처럼 연기하면서 잘 지어서부르면 눈치채는사람은 드물다.
 

 

음이탈이 났을 때

삑사리라고도 하는 음이탈은 무대에서 굉장히 창피하다고 여길수 있는부분인데 자연스럽게 대처하길바란다. 축구선수들도 경기를 하다보면 공을 몰고가다가 넘어지기도하고 다치기도한다. 노래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사람이기에 실수하기 마련이다. 자연스럽게 티내지 말고 넘어가자. 대략 4분가량의 노래중에 음이탈이 난부분은 1초뿐 되질 않는데 이 1초의 실수로 나머지 3분넘는시간을 망치지말자.

박자를 놓쳤을 때

가장 큰 실수이다. 음악은 시간 예술이라고 표현하는데 흐르는 시간에 그림을 그리는것과 같은데 박자를 놓치는것은 흐름이 끊어져버리는 것이기에 티가 많이난다. 하지만 이마저도 빠르게 어디 부분인지 파악하고 흔들림없이 이어 부르는것이 좋다.

정리

가장 중요한것은 얼마나 뻔뻔해 지는가다. 무대에서 노래부를때만큼은 그 누구보다 노래부르는 자신이 주인공을 잊지말자. 무대에서는 자신이 최고라 생각하고 내려와서는 부족함을 한없이 느끼며 연습하도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무대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실수하더라도 원래 내가 준비하고 계획된것과 같이 뻔뻔하게 여우처럼 노래하는것이다.
 
도움되는 이전글

 

반응형
반응형

보컬에게 필요한 재능

노래뿐아니라 음악자체에는 재능이 있어야 한다는 말들을 많이 한다. 틀린말이 아니다. 음악에서는 뛰어난 감각이 필요할 뿐 아니라 여러사람들앞에서 자신의 기량을 뽐낼수 있는 담대함등 다방면에서 보통의 사람들보다 우수한 면모를 보여줘야 사람들에게 기억될 수 있다. 그렇다면 꼭 타고나야만 그런 재능을 활용하고 음악을 할 수있을까? 그렇지 않다. 오늘은 그런 재능에 대해 이야기 하려한다.

1. 열정

가장 중요한 재능이다. 음악에 대한 열정은 그 누구보다 타올라야 한다. 대부분 음악을 하는 이들은 누가 억지로 시켜서 하는이들은 많지 않다. 대부분 자신이 너무 하고싶기에 시작하였지만 시간이 조금 흐르거나 연습 중에 힘든 점이 있다면 금새 열정이 식어 버린다. 음악을 시작 하였다면 시작한 그 마음을 끝까지 잊지 않길 바란다. 그 어떠한 재능보다도 가장 중요한 재능이 열정임을 잊지말자.

2. 음감

음감에는 절대음감 상대음감이 있다. 절대음감은 타고나야하고 상대음감은 훈련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감각으로 알려져 있는데 보컬에게는 절대음감보단 상대음감이 여러면에서 수월한면이 있다. 음악은 작은 선율부터 큰 선율로 이루어 져있다. 아무리 좋은 톤을 지니고 큰 소리를 낼 수있다 하더라도 음정이 정확하지 않다면 듣기 거북할 뿐이다. 연습으로 가질 수 있음에 감사하자.

3. 리듬감

리듬감역시도 감각이다. 몸치, 박치 라며 리듬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결국 리듬을 느끼려고 하면 리듬감 역시도 발달할 수 있다. 결국은 자신이 느끼려고 하지 않아서 발달이 안된 감각일 뿐이다. 음악을 들을때 멜로디라인에만 집착하지말고 드럼이나 베이스악기 소리도 잘 들어보며 음악에 집중하면 자연스레 리듬을 느낄 수 있다. 
 

 

4. 성량

성량은 타고나야 한다. 하지만 우리에겐 마이크가 있다. 마이크가 없는 시절에나 큰 오페라하우스에서 무대앞 자리부터 끝자리까지 들리게 끔 하여야했지만 요즘엔 공연에서 음향시스템이 없는 곳이 없다. 오히려 너무 큰 성량은 귀를 피곤하게 할 뿐이다. 하지만 본인이 낼 수있는 최대치의 성량을 내는 발성연습은 필수다.

5. 감정

감정대입은 타고난다기보단 본인의 경험에서 대부분 나온다. 삶 속에 아픔이 있다면 아픈 이야기를 잘하고 행복이 있다면 행복한 이야기를 잘 할것이다. 그렇다고 자신이 느끼지 못한것을 표현못하는것도 아니다. 다양한 영화나 책을 보며 간접 경험도 감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6. 무대매너 

무대에서 얼마나 여유가 있고 담대한지에 따라 프로다워 보이거나 반대로 아마추어처럼 보일수 있다. 무대매너나 퍼포먼스 역시 많은 무대 경험이 필요로 한다. 완성해서 무대에 오를 생각하면 늦다. 부족하더라도 무대에 자꾸 올라가고 욕먹거나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자. 사람이기에 실수는 늘 있을수 밖에 없다. 항상 부딪혀라. 그게 답이다.

마무리

음악을 하는데에 있어서 다양한 재능이 있음은 좋다. 물론 많은 노력과 연습을 하지 않았는데도 위에 제시한 부분들이 자연스레 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깊이 있는 음악은 나오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 말하는 재능은 노력이 부족하더라도 가능한 것을 이야기하지만 자신이 부족한 재능은 노력으로 커버할수 있음을 잊지말자. 이제 재능탓 남탓말고 자신의 열정이 부족했음을 인정하고 연습하자.
 
도움되는 이전글

 

반응형
반응형

음원이나 앨범 발매하기

 

작곡부터 레코딩 믹싱마스터링에 이르기까지 컴퓨터 한대로 끝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만큼 많은 양의 음원을 창작하고 제작할수 있는데 이 음원들을 기획사나 다른 가수들에게 곡을 파는 경우도 있지만 스스로 작곡가부터 제작자가 되어 유통할수도 있다.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작사, 작곡하기

먼저는 곡을 지어야한다. 작사부터 한뒤 멜로디를 쓰던 멜로디를 쓰고 가사를 쓰던 작곡에도 여러방법이 있지만 어찌 되었던 1절부터 끝까지 곡의 구성과 멜로디 가사가 전부 있어야한다.

2. 편곡하기

멜로디나 가사에 어우러지는 악기구성을 생각하자. 이 부분에서 컴퓨터음악으로 미디로 악기소리를 만들것인지 리얼악기들로 레코딩으로 소리를 받을것인지도 생각해보자. 예산과 장르를 고려해가며 편곡하길바란다. 예산이 높으면 좋지만 높다고만 좋은건 아니다. 저예산 고퀄리티를 추구하자.

3. 악보만들기

악보를 기보 해보자. 손으로 악보를 만드는 것도 좋지만 다양한 부분에서 협업을 하기위해서는 손사보보다는 피날레나 시벨리우스와 같은 사보프로그램으로 깔끔하게 악보를 만들어보자.

4. 레코딩하기

편곡에 따라 악기 레코딩부터 한다음 보컬녹음을 하도록하자. 레코딩 역시 전문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는 방식도 좋고 장비구입한뒤 집에서 레코딩해도 나쁘지않은 퀄리티가 나온다. 보통 스튜디오 레코딩은 한프로(3시간~4시간)당 15만원~35만원가량한다. 참고하자.
 

 

5. 믹싱하기

이 과정에서 보컬과 악기들의 음정과 박자를 튠하고 리버브나 이큐 컴프레서와 같은 플러그인이나 하드웨어장비로 소리를 잘 어우러지게 섞는다. 주파수에 따라 잘 믹싱되어야 악기하나하나 소리가 잘들리고 음악의 퀄리티가 달라보인다.

6. 마스터링하기

음원을 만드는 부분에 있어서는 마지막 단계로 음압을 끌어 올리는 것이다. 시중에 유통된 음원들보다 소리가 작을경우 내 음악이 다소 안좋게 들릴수 있기에 요즘엔 음압싸움이 심하다. 하지만 크다고만 좋은음악은 아니다.

7. 유통사 문의하기

마스터링 끝난음원으로 유통사에 원하는 유통날짜를 기입하고 문의 메일을 보내면 답변이 올것이다. 자신들과 계약하자던지 힘들다던지. 간혹 유통사에 돈을 줘야하냐고 묻는이들이 있는데 그 반대로 우리 음원을 팔아달라고 유통사에 맡기면 유통사가 그 음원을 여기저기 유통함으로써 우리음원이 팔린것에 대한 수익을 분배해서 제작자에게 입금해준다.

8. 유통사에서 제시한 준비물챙기기

유통하기 전에 유통사에서는 대개는 여러가지 파일을 요구하는데 먼저 가장중요한 음원은 wave파일과 mp3파일 두가지 버젼과 앨범 커버사진을 요구한다.
그 외에 회사마다 다른데 가사와 앨범소개글 발매자의 프로필사진등을 요구하기도 한다. 요구하는 파일을 모두 넘기면 유통되기만을 기다리면 된다. 
 
도움되는 이전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