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구글 <--빙웹마스터 도구--> 펑키한 음악이야기 :: 펑키한 음악이야기
반응형

 

노래 카피하는 방법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다 라는 말이 있듯이 음악에서도 모방을 빼놓을 순 없다.

해마다 문화의 수준이 올라가고 있다. 그 이유가 바로 자신보다 나은사람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영향을 받은 사람이 영향을 준 작품보다 더 발전한 작품을 내게되고 그 발전한 작품을 보거나 듣고 또 누군가는 영향을 받게되어 계속적으로 발전하는것이다.

나보다 뛰어난 보컬 리스트의 노래를 따라 불러 보고 분석함으로써 한단계 성장할 수 있게된다.

학생들에게 카피 숙제를 냈을때 그 곡을 부른 가수의 소리의 위치나 감성을 카피 하지 않고 평소에 자신이 부르는 스킬데로 노래를 불러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노래를 카피하는 의미가 없다

 

물론 곡자체가 단순하게 좋아서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노래에 도움이 되기 위한 카피는 섬세하고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

나아가서는 우리가 카피에만 머물러서는 안된다. 우리가 하고자하는 대중음악은 누군가와 비슷하거나 누군가와 똑같아서는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우리는 한사람만 카피해서는 모방 가수 밖에 되지 못 할것이다. 하지만 100명의 가수를 카피했을때는 모방이 아니라 나만의 독창적인 발성과 표현을 할 수 있을것이다.

 

노래를 카피하는 연습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첫째 처음부터 노래를 따라 부르지 않고 노래를 한마디 한마디 세심하게 집중해서 듣는다.

       (다른행동을 하며 음악을 BGM처럼 듣는 경우가 많은데 노래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음악을 매우 집중해서 들을 필요가있다. 그래야 들린다.)

둘째 멜로디와 가사를 파악한다.

       (작사가나 작곡가가 곡을 쓸때에 어떤 마음과 배경으로 곡을 썻는지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고 노래를 들어본다.)

셋째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를 완곡하려 하지말고 네마디정도씩 나눠서 듣고 따라불러보는 것을 반복한다.

      (밴딩이 위에서 내려오는지 밑에서 올라가는지, 바이브레이션의 정도와 길이, 음의 강세, 발음등을 집중하여 듣고 똑같이 부르려 노력한다.)

넷째 가급적 녹음을 하며 연습을 해본다. 내가 부른소리와 원곡의 보컬과 다른점이 있으면 무엇이 다른지 잘 분석하고 똑같이 부르려 노력해본다.

다섯째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를 똑같이 불러보며 녹음해본다.

 

카피할때 주의점은 톤(목소리)을 카피 하려해서는 안된다.

톤을 카피하려고 하면 점점 어색한소리(본인의 목소리보다 더 굵게내거나 얇아지는 소리)가 나면서 성대건강에도 좋지않고 듣기에도 거북한 소리가 난다.

'노래는 말하듯이 한다'는 것에 기본을 두고 자신의 본연의 목소리 색깔 그대로 내는 것을 잊지 말아야한다.

 

발성의 기본 목에 힘빼기

그루브 타면서 노래하는 방법

노래에 필요한 프레이징과 호흡관리 연습법!

 

반응형
반응형

 

리듬감 살리기

음악은 공백의 시간에 소리로 색칠하여 그림을 그리는 시간 예술이다.

 

음악에서 중요한 감각중 하나가 리듬감이다. 리듬 즉, 박자를 뜻한다.

음정과 박자중에 뭐가 더 중요하냐는 따질수 없지만 노래에서 음정이 틀리면 듣기 불편하긴 하지만 흘러 갈수는 있다. 

하지만 박자는 틀리면 노래가 지속되기 어렵다.

리듬감에는 칼박자와같이 소리가 나와야 하는 정확한 타이밍을 뜻하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것은 그루브다.

노래에서 '맛깔나게 부른다'라는 것은 대부분이 그루브가 느껴질 때 이런 표현을 쓴다.

그루브는 흔히들 '리듬을 탄다, 리듬을 느낀다'라고 이야기하는데 음악을 듣거나 연주할 때 음악의 흐름을 느끼며 연주했을 때 미묘한 강약이 붙게되는데

그부분에서 사람들은 재미를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4/4박자를 기준으로 

'강 강 강 강'은 딱딱하다. 

'강 약 중 약'은 무언가 고개를 까딱이게 된다.

 직접 손뼉으로 강약을 준것과 강으로만 쳐보며 그루브의 차이를 느껴보길 바란다.

 

 

다음으로 리듬감을 강화시키는 연습법이다.

첫째 자신이 좋아하는 4/4박자의 신나는 곡을 박자에 맞춰서 한박자에 박수를 한번씩 친다.

둘째 한마디 안에서 첫박과 세번째 박자는 쉬고 두번째 박자와 네번째 박자에만 박수를 친다.

셋째 박수를 치며 노래를 함께 불러본다.

넷째 박수가 아닌 몸으로 리듬을 느끼며 고개를 움직이거나 발박자로 박자를 세어본다.

다섯째 다양한 장르의 음악으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노래를 불러본다.

 

빠른곡에서만 리듬감이 중요하다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지 않다.

느린곡에서도 그루브가 존재하며 표현하기에는 느린곡이 더 어렵다.

 

발성의 기본 목에 힘빼기

복식호흡 무료강좌 이거면 끝

보컬 학원 종류와 트레이닝 수강료

 

반응형
반응형

 

목에 힘빼기

듣기 좋은 노래를 하기 위해선 올바른 발성이 필요하다. 올바른 발성소리를 내기 위하여는 먼저 복식호흡을 통하여 호흡의 압력을 잡아줘야 목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

소리를 낼 때 음의 높낮이에 따라 적절한 음압이 필요한데 호흡의 압력이 가해 지지않으면 목주변의 근육에 힘을 가하여 음압을 높이려 하기 때문에 복식호흡을 통한 압력 조절이 되지않으면 목주변 근육에 힘이 빠질리가 없다. 반드시 목에 힘빼기 연습전에 복식호흡 연습부터 하고 오길바란다.

 

복식호흡을 통한 호흡의 압력 조절이 가능해졌다면 다음으로는 연구개를 들어서 소리내는 연습이 필요하다.

*연구개는 입천장 뒷쪽에 물렁물렁한 부분을 뜻한다.

연구개를 들어준다는 것은 성대를 열어준다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쉽게 이야기해서 '하품하기 직전의 느낌'으로 목구멍 안쪽에서 열리는 기분을 찾아 본다.

연구개를 닫아서 발성할 시에는 쪼이는 듯한 느낌의 소리나, 갈리는 듯한소리 혹은 자신의 목소리가 아닌 만들어 낸 소리가 나와서 듣기에 거북한 소리가 난다.

무엇보다 성대나 주변근육에 불필요한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어 나아가 성대결절이나 발성장애와 같은 불상사가 일어나게 된다.

 

목에 힘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습방법으로 연습해보길 바란다.

첫째 복식호흡을 바탕으로 편안하게 호흡을 한다.

둘째 성대를 열어 소리를 낸다. (하품하기 직전의 느낌)

셋째 본인이 낼 수 있는 최저음으로 최대한 길고 일정하게 소리낸다.

       (소리가 불안하게 흔들릴때는 호흡의 압력이 부족하거나 호흡이 고르게 나오지 않고 있어서이다. 호흡을 고르게 내어 소리를 안정적으로 낸다.)

넷째 음정과 볼륨, 음색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소리낸다.

다섯째 여러가지 음으로 모음(아,에,이,오,우)발음으로 길게 끌어 소리낸다.

 

참고

목에 힘이 들어가는 느낌은 정도의 따라 느끼는 바가 개개인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힘을 빼고 한팔을 위로 올리고 있을때 누군가는 1분이면 팔이 저려오고 누군가는 1분은 버틸수 있고 2분쯤에 저려오고 힘이드는것을 느낄수 있다.

여기서 또 한가지 살펴볼것은 둘다 힘을 빼고 팔을 들고 있어도 결국엔 팔이 저려온다는 것이다.

마찬가지 노래에서도 목에 힘을 전혀 빼고 노래를 하는 방법이란 없다.

목에 어느정도 힘이 들기 마련이나 소리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발성을 위해서 노래하는 본인은 힘을 주지 않는다라고 생각하고 노래 해야한다.

노래연습에는 하루아침에 변화되지 않는다. 꾸준히 연습하여 득음하길 바란다.

 

믹스보이스(Mix Voice)와 파사지오 발성 연습법

노래 고음 올리는 연습 방법 이거면 끝!

자신에게 맞는 음역대 노래 찾기

 

반응형

+ Recent posts